산행 이야기/수도권남부산행기
광주,무갑산 - 관산 환 종주 산행
세담
2008. 3. 31. 15:05
광주8경의 하나인 무갑산을 거쳐 관산으로 하산하는 환 종주 등산
산행인원 - no.1 과 세담 <2인> 산행일 2008.03.26 산행시간 12:00-17:30 구간거리 약12km내외
날씨-바람심하고 변덕스러움. 가끔 태양도 한 두번......
경안ic에서 퇴촌으로 가기전 무갑리로 마을길을 따라 들어간다.
작은 개울을 따라 도로가 이어지고 경로당이 보이면 이곳 근처 적당한 곳에 주차후 산행을 시작.....
무갑산! 광주8경의 하나이며 산이 갑옷을 두른 것 같다하여 무갑산이라 하기도 하고<경기도 광주문화원>
임진왜란때 무사들이 무장을 한채 숨어 들었다 하여 무갑산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이곳만 등산을 하기엔 코스가 짧고 단순하므로 관산이나 광주최고봉인 앵자봉을 연계하여 산행하는 것이 묘미가 있다.
차량을 가지고 온 관계로 관산을 지나 내려오는 환종주를 하기로.......앵자봉,양자산은 다음 기회에~~~
소나무 숲과 가파른 비탈을 땀좀 흘려가며 치고 올라 가야한다......희미하게 나마 등산로가 구분되고.....
담부턴 주의해야 겠다.....
가파른 능선을 몇개 넘어서면 어느새 무갑산 정상이 가까워지고.....
멀리 중부고속도로와 광주산맥이라 불리는 백마산에서 태화산까지의 능선이 눈에 흐릿하게 조망되고......
ㅋㅋㅋㅋㅋ 에효~나무가 불쌍해~~~~~~
아직 날씨가 추워서인지 진달래가 한송이만 피었다.성격이 급한 녀석인가?
어제 내린비에 조금 시든듯 하기도 하지만 봄의 전령사 답게 자태가 곱다.
또 하나의 이정표를 만난다.
이런 이정표가 서 있는 무명봉 삼거리를 만나게 된다.
오늘 종주코스중 가장높은 해발608m 높이지만 양자산에서 내려온 앵자봉,소리봉의 동생뻘이다 보니
이름도 없는 무명봉이 되었다.
이곳에서 앵자봉 종주코스는 우측으로 관산코스는 죄측으로 진행해야 한다.
흙이라곤 밟을 수가 없다.낙엽들이 등산로가득 쌓여 바스락 소리와 함께 경쾌한 쿠션을 만들어 주고......
이제 관산이 눈앞에 들어온다.
하지만 카메라의 위력은 실로 대단하다. no.1의 추위에 움츠린 표정이 카메라 렌즈가 다가서자 미소로.....
누가 추운줄 알겠는가? ㅎㅎㅎㅎㅎㅎ <단, 요 사진은 본인의 연출이었음 ㅋ>
하산 길에 만난 커다란 자작나무! 관산엔 이렇게 큰 물박달나무가 아주 많다.
지금도 원시림 같은 숲길이 보기에도 아름답다.
내려오는 하산길은 신기한 나무들과 계곡의 합창소리를 들으며 조금도 지루함을 느끼지 못한다.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 눈이 시리도록 맑은 계곡수가 시원한 소리를 내며 세차게 흘러 내린다.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풍경이다...........마치 강원도 어느계곡에 들어와 있는 느낌이다.
갈수기인 지금 이렇게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니 여름엔 대단하겠다.
전나무 숲길을 지나자 관산계곡과 무갑리계곡이 합쳐져 더큰 물줄기를 이루고 맑고 깨끗함은 변함이 없다.
이 물길을 건너야 마을로 하산이 가능하다.......
무갑리의 12km남짓 산길을 원점으로 돌아오는 환종주로 마감짓는다.
무갑산,관산팁!-교통이 불편하므로 차를 무갑리에 주차하고 종주 하는것이 편리하며 무갑산,앵자봉 ,양자산 종주를 하려한다면 가급적 광주시내에 도착하여 광주버스터미널에서 무갑리행 시내버스를 <하루8회?정도>이용하는 것이좋겠다. 가벼운 산행을 목적으로 하는 초보 분들은 관산계곡으로 올라 608봉을 넘어 웃고개에서 무갑리계곡으로 하산하는 3시간 코스도 좋겠다. 무갑산만 올랐다 내려오는 산행은 좌측사면 벌목으로 인해 풍광이
별로이므로 비추!!!!!!